728x90
기저효과(base effect)는 경제지표 증가율을 해석할 때 기준시점과 비교시점의 상대적 인 위치에 따라서 경제상황에 대한 평가가 실제보다 위축되거나 부풀려지는 등의 왜곡이 일어나는 것을 말합니다.
즉 호황기의 경제 상황을 기준시점으로 현재의 경제 상황을 비교할 경우 경제지표는 실제보다 위축된 모습을 보이는 반면, 불황기의 경제 상황을 기준시점으로 비교하면 경제지표가 실제보다 부풀려져 나타날 수 있습니다.
기저효과는 물가 상승률을 설명할 때도 자주 이용됩니다.
예를 들어 지난해 여름에 태풍 피해로 농산물가격이 급등하였다면, 전년동기대비로 계산한 올해 여름의 농산물가격 상승률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날 것입니다.
반대로 지난해 가을 기상여건 호조에 따른 공급과잉으로 과일가격이 폭락하였다면 올해 가을의 과일가격 상승률은 높은 수준을 보일 가능성이 큽니다. 따라서 경제지표를 보다 정확히 해석하기 위해서는 기준시점에 특수한 상황이 발생했는지 살펴 보고, 그로 인해 비교시점의 지표가 어떤 영향을 받고 있는지 고려할 필요가 있습니다.
728x90
'금융을 공부해요'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축통화'란 무엇일까요? (0) | 2024.05.26 |
---|---|
'기준금리'란 무엇일까요? (0) | 2024.05.25 |
기업어음(CP)은 무엇일까요? (0) | 2024.05.23 |
기업공개(IPO)란 무엇일까요? (1) | 2024.05.22 |
기업경기실사지수(BSI)란 무엇일까요? (0) | 2024.05.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