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금융을 공부해요

우리나라의 산업구조

728x90

 

산업구조는 산출액 또는 부가가치를 기준으로 개별 산업이 전체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으로 파악됩니다.

 

국민소득계정은 산업구조를 부가가치 기준으로 계산하는 반면 산업연관표는 산출액을 기준으로 하고 있습니다.

 

아래의 표는 산업연관표에 의한 우리 경제의 산업구조이다. 2019년 중 우리나라의 산업별 산출액 비중은 서비스업이 47.4%로 가장 높고 그다음이 제조업으로 42.1%입니다. 건설업과 전력·가스·수도 및 폐기물처리업이 각각 6.1%와 2.8%를 차지하였습니다. 2018년에 비해 서비 스업 비중이 높아진 반면 제조업 비중은 낮아진 모습입니다.

 

<표1> 산업구조 (단위 %)

  2017 2018 2019
농림어업 1.5  1.5 1.5
광업 0.1  0.1 0.1
제조업 43.8  43.5 42.1
전력, 가스, 수도 및 폐기물처리업 2.7  2.8 2.8
건설업 6.4  6.1 6.1
서비스업 45.4  45.9 47.4
전 산업 100.0  100.0  100.0 

 

 


 

<표2> 중간재 국산화율 (단위 %)

  2017 2018 2019
농림어업 93.0 92.7 93.5
광업 98.5 98.6 98.6
제조업 70.5 69.5 69.9
전력, 가스, 수도 및 폐기물처리업 52.5 50.7 53.2
건설업 93.0 93.3 93.6
서비스업 89.7 89.8 89.5
전 산업 78.4   77.7 78.2

 


 

<표3> 부가가치율 (단위 %)

  2017 2018 2019
농림어업 55.3 52.7 51.0
광업 50.4 47.2 46.5
제조업 28.0 27.7 27.3
전력, 가스, 수도 및 폐기물처리업 36.4 29.7 31.3
건설업 39.0 40.2 40.4
서비스업 55.0 54.8 55.0
전 산업 41.6 41.3 41.7
728x90